공장건물이나 기계설비, 차량과 같은 고정 자산은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회계에서의 가치는 사용 불능이 되었을 때 모두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 기간에 걸쳐서 서서히 상쇄되어 없어지는 것이다. 이를 감가상각이라고 하며 엑셀에서도 함수로 감가상각을 계산할 수 있다. 엑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감가상각 관련 함수는 정액법, 정률법, 이중체감법, 연수합계법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 중 우리나라 세법에서는 같은 금액으로 상각하는 정액법과 같은 비율로 사용하는 정률법을 사용한다.
SLN()함수는 정액법을 사용하여 감가상각액을 구하는 함수이다. 이는 고정자산의 사용연수 기간 중 매기(감가상각은 보통 1년에 한 번) 상각하는 금액을 구하는 함수이다. 다른 말로는 직선법, 직선식상각법, 균등상각법이라고도 한다.
=SLN(Cost,Salvage,Life)
- 취득가액(Cost) : 감가상각할 자산의 구입가격을 말한다.
- 잔존가치(Salvage) : 가용년수가 지났을 때 자산의 가격을 나타낸다.
- 가용년수(Life) : 감가상각할 기간이다.
취득가액 45,000,000원의 차량을 구입했을 경우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6년이고, 잔존가치가 32,000,000원이라고 가정했을 경우 정액법에 의한 감가상각액은 얼마인지 정액법을 이용하여 계산해 보자.
정액법으로 감가상각액을 구하기 위하여 [F4] 셀을 클릭한다. [함수마법사(fx)] 아이콘을 클릭한다. [함수마법사] 대화상자가 나타나면 '범주 선택(C) : 재무', '함수 선택(N) : SLN'을 선택한 다음 [확인] 단추를 클릭한다.
[함수 인수] 대화상자가 나타나면 'Cost : $C$3', 'Salvage : $C$4', 'Life : $C$5'를 입력하고 [확인] 단추를 클릭한다.
[F4]셀을 클릭하고,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여 [F9] 셀까지 끌어다 놓는다. 매년 감가상각액이 같은 것을 알 수 있다.
엑셀의 함수 및 기능 이용하기 TIP : 감가상각액 구하기(이중체감법) (10) | 2022.09.15 |
---|---|
엑셀의 함수 및 기능 이용하기 TIP : 감가상각액 구하기(정률법) (14) | 2022.09.14 |
엑셀의 함수 및 기능 이용하기 TIP : 상관계수 구하기 (6) | 2022.08.20 |
엑셀의 함수 및 기능 이용하기 TIP : 셀의 개수 구하기(2) (5) | 2022.08.06 |
엑셀의 함수 및 기능 이용하기 TIP : 셀의 개수 구하기(1) (8) | 2022.07.2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