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4절기 이야기 : 입동(立冬),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 대한(大寒)

일상정보

by 상민짱짱 2022. 5. 2. 07:00

본문

728x90
반응형

겨울 '冬'의 의미는 본래 끈을 묶은 모양으로 계절의 끝인 겨울을 상징하다가 추위의 표현인 얼음 빙{氷}의 의미를 넣어서 만든 글자이다. 죽음과 암흑의 상징이면서도 역시 새로운 생명의 잉태를 암시해 주고 있다. 겨울의 추위는 다음해 농사의 풍흉(豊凶)을 점치고 {삼한 사온(三寒四溫)이면 풍년, 이상 난동(暖冬)이면 흉년}, 조상에게 묘제(墓祭)를 올리는 시향(時享)을 지내는 시기이기도 하다. '송구영신(送舊迎新)'의 의미로 겨울을 표현하는데, 묵은 것은 버리고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통과의례로 겨울의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겨울은 오행(五行)의 수(水), 방위는 북(北), 오색(五色)은 흑(黑)에 해당된다.

 

 

 

 

입동(立冬)

 

입동(立冬)은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10월 절기(節氣)로 태양이 황경(黃經) 225도에 위치한 때이고 양력(陽曆)으로는 11월 8일경이다. 옛 문헌에 입동 기간에는 물이 비로서 얼고, 땅이 처음 얼며, 꿩은 드물고 조개가 잡힌다고 한다.

 

 

 

 

소설(小雪)

 

소설(小雪)은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10월 중절(中氣)로 태양이 황경 240도에 도달한 때이고 양력(陽曆)으로는 11월 23일경이다. 이 시기는 첫 겨울의 증후가 보여 눈이 내린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옛 문헌에 소설 기간에는 무지개가 걷혀 나타나지 않고, 천기(天氣)가 올라가고 지기(地氣)가 내려오며, 천지가 얼어 생기가 막혀{폐색(閉塞)} 겨울이 온다고 한다.

 

 

 

 

대설(大雪)

 

대설(大雪)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11월 절기(節氣)로 태양이 황경 255도에 이른 때이고 양력(陽曆)으로는 12월 7일경이다.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라는 의미이지만 실제 추위의 계절은 동지(冬至)를 지나서부터이다. 옛 문헌에 대설 기간에는 한달새가 울지 않고, 범이 교미하여 새끼를 낳고, 여주{박과의 일년생 넝쿨풀} 열매가 돋아난다고 한다.

 

 

 

 

동지(冬至)

 

동지(冬至)는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11월 중기(中氣)로 태양이 황경 270도에 도달한 날이고 이 날은 태양이 황도의 최남단{남회귀선}에 위치해 낮이 가장 짧은 날이고 양력(陽曆)으로는 12월 22일경이다. 동지는 태음태양력(太陰太陽曆)의 역법(曆法)에서 역(曆)의 기산점(起算點)이 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해졌고, 또한 24절기 중에 직접적인 풍습이 가장 많이 있는 기간이기도 한다. 전통의 풍습에 원단(元旦)과 함께 동지를 으뜸가는 축일(祝日)로 쳐서 궁궐에서도 회례연(會禮宴)을 펼치고 동지사(冬至使)을 중국에 보내기도 했다. 민간에서도 동지절식(冬至節食)을 먹었는데, 붉은 팥으로 죽을 쑤어 그 속에 찹쌀로 옹시미 또는 새알심이라는 단자(團子)를 만들어 넣어 먹고 또 역귀(疫鬼)를 쫓는다는 의미로 팥죽 국물을 벽이나 문에 뿌렸다. 조선조(朝鮮朝)에서는 이때 새롭게 만들어지는 다음해의 달력을 관상감(觀象監)에서 '동문지보(同文之寶)'라 하여 임금에게 올리고 임금은 대신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소한(小寒)

 

소한(小寒)은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12월 절기(節氣)로 태양이 황경 285도에 도달한 때이고 양력(陽曆)으로는 1월 6일경이다. 절기의 명칭으로는 다음의 절기 '대한(大寒)'이 더 춥다는 의미지만 우리나라는 소한(小寒) 때가 더 추워 "대한이 소한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말이 생겨났다. 옛 문헌에는 소한 기간에 기러기가 돌아가고, 까치가 집을 짓고, 꿩이 운다고 한다.

 

 

 

 

대한(大寒)

 

대한(大寒)은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12월 중기(中氣)로 태양이 황경 300도에 위치한 시기이고 양력(陽曆)으로는 1월 21일경이다. 겨울 추위의 매듭을 짓는다는 의미의 대한(大寒)이지만 실제는 소한(小寒) 때가 더 춥다. "소한의 얼음 대한에 녹는다."는 말이 있다. 대한의 마지막 날이자 입춘(立春) 전날인 절분(節分)은 콩을 방이나 마루에 뿌리면서 마귀를 쫓고 새해를 맞이하는 풍속이 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