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둥이네(상똥/예뚱/영뚱/잼뚱)~♡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다둥이네(상똥/예뚱/영뚱/잼뚱)~♡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15)
    • 다둥이네~♥ (4)
    • 경제지표 (1)
    • 경영관리 (43)
      • 투자이론 (29)
      • 경영분석 (14)
    • IT정보 (312)
      • 오토캐드(AutoCAD) 따라하기 (29)
      • 솔리드웍스(Solidworks) 따라하기 (47)
      • 스케치업(Sketch UP) 따라하기 (28)
      • 엑셀 팁(Excel Tip) (93)
      • 포토샵(Adobe Photoshop CS6) 따.. (30)
      • 인벤터(Inventor) 따라하기 (83)
    • 일상정보 (52)
    • 디자인 (95)

검색 레이어

다둥이네(상똥/예뚱/영뚱/잼뚱)~♡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일상정보

  • 24절기 이야기 : 입추(立秋), 처서(處暑), 백로(白露), ​추분(秋分), 한로(寒露), 상강(霜降)

    2022.04.30 by 상민짱짱

  • 옛 말속에 건강의 비결

    2022.04.26 by 상민짱짱

  • 24절기 이야기 - 입하(立夏), 소만(小滿), 망종(芒種), ​하지(夏至), 소서(小暑), 대서(大暑)

    2022.04.24 by 상민짱짱

  • 24절기 이야기 - 입춘(立春),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분(春分), 청명(淸明), 곡우(穀雨)

    2022.04.21 by 상민짱짱

24절기 이야기 : 입추(立秋), 처서(處暑), 백로(白露), ​추분(秋分), 한로(寒露), 상강(霜降)

가을은 풍요와 결실의 계절을 상징한다. 하지만 이와 상응하는 쇠락과 시듦의 전주곡으로도 그 상징을 나타낸다. 7월 15일의 백중(百中)과 8월 15일 중추절(仲秋節)은 농경 생활과 관련있는 명절이고, 7월 칠석(七夕)과 9월 9일의 중양절(重陽節)은 양기(陽氣)가 강한 날의 풍습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곧 수확기의 다양한 세시 풍속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하게 전래되고 있는 것이다. 음력 7월부터 9월까지의 가을은 오행(五行)의 금(金), 방위는 서(西), 오색(五色)은 백(白)에 해당한다. 입추(立秋) 입추(立秋)는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7월 절기(節氣)로 태양이 황경(黃經) 135도에 위치한 날이 입기일(立氣日)이고 양력(陽曆)으로는 8월 8일경이다. 옛 문헌에 입추 기..

일상정보 2022. 4. 30. 07:00

옛 말속에 건강의 비결

어느 나라 어느 민족이든지 건강을 제일 중요한 삶의 덕목으로 친다. "재물을 잃는 것은 조금 잃는 것이요, 친구를 잃는 것은 많이 잃는 것이며, 건강을 잃는 것은 다 잃는 것이다."라는 서양 속담이 그러하고 "복 중에는 건강 복이 제일"이라는 우리 속담도 이를 대변해 준다. 그렇다면 속담은 그것만으로 그치는 것일까. 의학 발전에 따라 속담에 숨어있는 건강 덕목의 과학적 의미가 재해석되는 경우도 있다. 속담에 숨어있는 건강 비결과 건강 정보를 알아보자. ◆ 동가식(東家食) 서가숙(西家宿) 한다. 동쪽에서 밥먹고 서쪽에서 잠자는 등 떠돌이 생활을 의미하는 말이다. 그러나 이 말을 현대의학적으로 해석하면 식사는 채식 위주의 동양(東洋)식으로 하고, 잠은 침대 등을 이용한 서양(西洋)식으로 하라는 권고로 받아들..

일상정보 2022. 4. 26. 07:00

24절기 이야기 - 입하(立夏), 소만(小滿), 망종(芒種), ​하지(夏至), 소서(小暑), 대서(大暑)

여름은 번창과 무성함을 의미하는 계절로 힘의 원천을 느낄 수 있고 개방적이며 젊음이 넘치는 시기이다. 우리 전통 풍습의 음력 5월5일 단오절(端午節)은 수(數)에서 양기(陽氣 : 홀수)가 겹치는 생기(生氣)가 있는 날로 1년중 가장 양기가 왕성한 때이므로 천중가절(天中佳節)이라 불린다. 곧 씨름이나 그네뛰기 등 왕성한 생기를 발산하는 계절이다. 음력으로 4월에서 6월까지가 여름인데, 오행(五行)으로는 화(火)이고 방위는 남(南), 오색(五色)은 적(赤)에 해당한다. 입하(立夏) 입하(立夏)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4월 절기(節氣)로 태양이 황경(黃經) 45도에 도달한 날이 입기일(立氣日)이 되고 양력(陽曆)으로는 5월 6일경이다. 옛 문헌에 입하 기간에는 청개구리가 울고, ..

일상정보 2022. 4. 24. 07:00

24절기 이야기 - 입춘(立春),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분(春分), 청명(淸明), 곡우(穀雨)

봄은 시작과 풍요, 부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곧 계절의 시작, 한해의 시작, 다시 농사 준비의 시작으로까지 봄은 모든 만물(萬物)이 생명의 근원을 다시 얻어 소생(蘇生)하는 계절인 것이다. 봄은 절기(節氣)상으로 입춘(立春)을 시작으로 곡우(穀雨)까지 왕성한 생명력의 근원을 바탕으로 희망과 소생의 미학(美學)을 표현하기에 충분하다. 아울러 봄은 오행(五行)으로 볼 때 '목(木)'에 해당하고 방위는 '동(東)', 오색(五色)은 청(靑)에 해당된다. 또한 봄 처녀의 계절로 표현되듯 여자의 계절로도 불린다. 입춘(立春) 입춘(立春)은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정월(正月) 절기(節氣 ; 매달 상순에 드는 절기)로 태양이 황경(黃經 ; 춘분점에서부터 황도를 따라 잰 천체의 각도 거리..

일상정보 2022. 4. 21. 07: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4 5 6 7
다음
TISTORY
다둥이네(상똥/예뚱/영뚱/잼뚱)~♡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