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이나 휴일을 제외한 근무일을 계산하려면 [NETWORKDAYS] 또는 [NETWORKDAYS.INTL] 함수를 사용한다. 주5일 근무일 때는 [NETWORKDAYS] 함수를 사용하고, 주6일 근무일 때는 [NETWORKDAYS.INTL]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NETWORKDAYS] 함수는 시작일에서 종료일까지 주말(토, 일)과 휴일 목록의 날짜를 제외한 근무 일수를 계산하는 함수로 함수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NETWORKDAYS(시작일,종료일,휴무목록)
시작일 : 차이를 구할 첫 번째 일이다.
종료일 : 차이를 구할 마지막 일이다.
휴일목록 : 날짜 계산에서 제외할 휴일 날짜 값을 갖는 데이터 범위이다.
[NETWORKDAYS.INTL] 함수는 [NETWORKDAYS] 함수와 동일한 동작을 하지만, 세 번째 주말 인수가 추가되어 주말을 사용자 환경에 맞게 지정할 수 있다.
=NETWORKDAYS.INTL(시작일,종료일,주말,휴무목록)
시작일 : 차이를 구할 첫 번째 일이다.
종료일 : 차이를 구할 마지막 일이다.
주말 : 주말을 지정하는 옵션으로 1~7, 11~17 사이의 옵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휴일목록 : 날짜 계산에서 제외할 휴일 날짜 값을 갖는 데이터 범위이다.
위의 첨부 파일을 열어보면 다음과 같은 표를 확인할 수 있다.
[B6]셀과 [C6] 셀의 시작일, [E6:E14] 범위의 종료일의 휴일을 참고해 [C9:C10] 셀에 주5일과 주6일 근무일을 계산해 보자.
TIP : [E6:E14] 범위의 휴일 목록은 계산 전에 미리 입력해야 한다.
주5일 근무를 하는 회사의 근무일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C9] 셀을 선택하고 다음 수식을 입력한다.
=NETWORKDAYS(B6,C6,E6:E14)
[NETWORKDAYS] 함수를 사용하면 시작일(B6)과 종료일(C6) 사이의 주말과 휴일(E6:E14)을 제외한 근무일을 계산한다. 이때 [E6:E16] 범위와 같이 휴일 목록을 구성하여 [NETWORKDAYS] 함수에 전달할 때는 다른 값이 입력된 부분은 제외하고 휴일 날짜가 기록된 [E7:E15]만 전달해야 한다. 참고로 [DATEDIF] 함수는 두 날짜의 차이를 구하지만 [NETWORKDAYS] 함수는 두 날짜의 일 수를 구하므로 [DATEDIF] 함수와 같이 종료일에 1을 더해주는 계산식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주6일 근무할 때는 [NETWORKDAYS.INTL] 함수를 사용한다. [C10] 셀을 선택하고 다음과 같이 수식을 입력한다.
=NETWORKDAYS.INTL(B6,C6,11,E6:E14)
[NETWORKDAYS.INTL] 함수는 EXCEL 2010부터 제공되는 함수로 기존의 [NETWORKDAYS] 함수가 지닌 문제점을 개선한 함수라고 할 수 있다. [NETWORKDAYS] 함수는 주말을 토요일과 일요일로 고정하기 때문에 주말이 다른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렵지만, [NETWORKDAYS.INTL] 함수는 세 번재 인수에 주말 옵션을 결정할 수 있어 근무일 계산하는 작업을 좀더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NETWORKDAYS] 함수와 [NETWORKDAYS.INTL] 함수의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NETWORKDAYS(시작일,종료일,휴일)=NETWORKDAYS.INTL(시작일,종료일,1,휴일)
사람들이 잘 모르는 엑셀 팁(Tip) 알아보기 : 월의 일수 계산하기 (17) | 2021.11.11 |
---|---|
사람들이 잘 모르는 엑셀 팁(Tip) 알아보기 : 두 날짜의 차이 구하기 (15) | 2021.11.10 |
사람들이 잘 모르는 엑셀 팁(Tip) 알아보기 : 주말과 휴일을 제외한 종료일 계산하기 (17) | 2021.11.08 |
사람들이 잘 모르는 엑셀 팁(Tip) 알아보기 : 함수 마법사를 이용한 수식 작성하기 (13) | 2021.11.07 |
사람들이 잘 모르는 엑셀 팁(Tip) 알아보기 : 수식에서 참조한 셀을 정의한 이름으로 변경하기 (12) | 2021.11.0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