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수식으로 함수를 사용하려면 함수에 전달하는 인수 값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초보자의 경우에는 인수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함수를 구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때 함수 마법사를 이용하여 좀 더 쉽게 수식을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사용자가 함수의 이름을 모를 경우 수식을 입력할 셀을 먼저 선택하고 수식 입력 줄의 왼쪽의 [fx] 함수 삽입을 클릭한다.
[함수 마법사] 대화상자가 나타나는데 [최근에 사용한 함수]가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어 최근에 사용한 함수를 [함수 선택]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함수가 있을 경우, 예를 들어 [SUM] 함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SUM]함수를 선택하고 [확인] 단추를 클릭하면 된다.
[범주 선택(S)]의 '최근에 사용한 함수' 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함수가 없을 경우 화살표를 눌러서 '모두'를 누르거나 각 함수의 종류를 눌러주면 사용자가 필요한 함수를 찾을 수 있다.
[함수 마법사]에서 [함수 검색(S)]에서 사용자가 함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대한 검색어를 입력하면 함수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수 검색(S)에서 '평균'이라고 입력한 다음 [검색(G)]를 누르게 되면 하부의 [함수 선택(N)에서 평균에 관련된 함수들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함수 명을 알고 있다면 함수마법사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함수 인수 대화상자를 호출할 수 있다. 수식을 입력할 셀에 등호(=)와 함게 함수명과 괄호 열기 '(' 문자를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이때 [fx] 함수 삽입을 클릭하거나 [Ctrl + A]를 누른다.
이때 해당 함수의 [함수 인수] 대화상자가 나타나는데 다음의 도움말을 참고해 함수를 구성한다. [확인] 단추를 클릭하면 함수가 자동으로 완성된다.
[SUM] Number1, Number2 : 함수에게 전달할 인수를 입력한다.
[인수를 구합니다.] : 현재 입력해야 할 인수에 대한 도움말이다.
[수식 결과 =] : 구성한 함수의 값을 표시한다.
[도움말(H)] : 해당 함수의 전체 도움말을 확인한다.
함수의 인수에 전달할 값을 Number1 ~ Number4까지 각각 100, 200, 300, 400을 입력해 본다. [수식 결과=] 값이 1000이 나타난다.
사람들이 잘 모르는 엑셀 팁(Tip) 알아보기 : 주말과 휴일을 제외한 근무일 구하기 (17) | 2021.11.09 |
---|---|
사람들이 잘 모르는 엑셀 팁(Tip) 알아보기 : 주말과 휴일을 제외한 종료일 계산하기 (17) | 2021.11.08 |
사람들이 잘 모르는 엑셀 팁(Tip) 알아보기 : 수식에서 참조한 셀을 정의한 이름으로 변경하기 (12) | 2021.11.06 |
사람들이 잘 모르는 엑셀 팁(Tip) 알아보기 : 정의된 이름이 참조하는 대상 범위를 빠르게 확인하기 (14) | 2021.11.05 |
사람들이 잘 모르는 엑셀 팁(Tip) 알아보기 : 연산자 우선순위 알아보기 (15) | 2021.11.0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