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귀 분석에서 데이터에 맞는 지수 곡선을 계산하여 그 곡선을 설명하는 값의 배열을 구하는 함수이다. 이 함수는 값을 배열로 산출하므로 배열 수식으로 입력해야 한다. 배열식으로 입력하려면 수식 입력이 끝난 다음 [CTRL + SHIFT + ENTER]를 함께 눌러야 한다.(함수 마법사를 실행했을 경우에는 CTRL + SHIFT + 확인 단추를 누른다.)
=LOGEST(Known_y's,Known_X's,Const,Stats)
- 알고 있는 값 y(known_y's) : 이미 알고 있는 y값의 배열을 지정한다.
- 알고 있는 값 x(known_x's) : 이미 알고 있는 x값의 배열을 지정한다.
- 정수(const) : x와 y의 관련을 표시하는 식이다. y=b ax의 b에 1을 지정할 것인가를 논리값으로 지정한다. TRUE를 지정하면 b값은 값대로 계산되며, FALSE로 지정하면 b값은 계산하지 않는다.
- 보정(Stats) : 추가로 회귀 통계치를 구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논리값이다. 이 값이 TRUE면 LOGEST는 추가로 회귀 통계치를 구한다. 그러므로 표시되는 배열은 "mn, mn-1, m1, b:sen, sen-1, se1, seb:r, sey:F, df:ssreg, ssresid"이다. FALSE이거나 생략되면 LOGEST는 개수 m과 상수 b만을 구한다.
지방의 어느 도시에서 아파트의 51~25평형에 대한 가격과 아파트의 정보에 대해 을 알고 있다고 가정하여, LOGEST()함수를 이용하여 성장값을 구해 보자.
먼저 지수 추세에 따라 성장값을 구할 셀 범위를 지정하기 위하여 [H2 : L6] 셀의 범위를 지정한다.
[함수 마법사] 아이콘을 클릭하여 [함수 마법사]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범주 선택(C) : 통계' - '함수 선택(N) : LOGEST'를 선택하고 [확인] 단추를 클릭한다.
[함수 인수] 대화상자가 나타나면 'known_y's : E3:E16', 'known_x's : B3:D16', Stats : 1'를 입력한다. 이때 범위를 지정하고 함수 마법사를 실행시켰으므로 반드시 [CTRL +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확인] 단추를 클릭한다.
지수 추세에 따른 성장값이 산출된다.
엑셀의 함수 및 기능 이용하기 TIP : 두 배열 요소를 곱하여 그 합계 구하기(SUMPRODUCT() 함수) (3) | 2023.05.30 |
---|---|
엑셀의 함수 및 기능 이용하기 TIP : 지정한 인수끼리 곱하기(PRODUCT() 함수) (3) | 2023.05.28 |
엑셀의 함수 및 기능 이용하기 TIP : 지수 추세 값 구하기 - 1 (7) | 2022.11.21 |
엑셀의 함수 및 기능 이용하기 TIP : 일정하지 않은 현금흐름에 대한 현재가치 구하기(XNPV() 함수) (6) | 2022.11.14 |
엑셀의 함수 및 기능 이용하기 TIP : 투자에 대한 현재 가치 구하기(NPV() 함수) (7) | 2022.10.0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