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기간(single period)의 수익률을 계산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두 가지 이상의 복수 기간(multi-period)의 경우에는 계산법이 복잡해진다. 복수기간에서 수익률을 계산하는 방법은 할인현금흐름(DCF) 기법을 이용해야만 수익률을 쉽게 계산할 수 있으며, 이때 계산된 할인율은 내부수익률(IRR)이다. 즉, 가치가중수익률이 바로 내부수익률인 셈이다.
가치가중수익률은 투자금액가중수익률(Investment amount weighted return rate)이라고 하는데 투자가 시작되는 시점에서부터 현금흐름(Cash Flow : CF)이 발생하는 시점까지를 하나의 기간으로 간주하여 수익률을 구하고, 이 수익률을 전체 투자기간에 대해 수익률로 환산한다. 따라서 가치가중수익률은 투자기간 동안 추가적인 투자를 했기 때문에 얻어진 결과이므로 만약 추가적인 투자가 없다면 투자결과가 완전하게 달라진다. 그러므로 일정 목표기간동안 투자금액을 마음대로 늘리고 줄일 수 없는 펀드 매니저의 경우 투자성과 측정지표로는 적절하지 않게 된다.
이 수익률은 투자금액을 중심으로 성과를 측정하는 데 유용하며 개인투자자의 입장에서 보면 호황이 예상되면 투자를 많이 하고, 침체가 예상되면 투자를 줄인다는 관점에서는 가치가중수익률이 적절한 투자성과측정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세아코퍼레이션의 2019년초 200,000원에 매입한 주식을 연말에 가서 매도하지 않고 계속보유하여 6,000을 배당금으로 받았다. 연말에 주식을 220,000에 더 매입하여 2020년말에 가서 주식들을 240,000원에 모두 매도하였다. 각 매입주식에 대해 6,000원씩 모두 12,000원의 배당수입을 올렸다고 가정하면 이 경우 투자수익률은 얼마일까?
각 연도별로 현금유출(-로 표시)과 현금유입(+로 표시)을 구분해 보자.
연 투자수익률을 r이라고 하고 할인현금흐름(DCF)기법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공식이 성립된다.
시간가중수익률은 기초에 투자된 1원에 대해 획득한 수익률을 기말까지 유지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수익률이다. 시간가중수익률은 각 기간의 투자금액을 고려하지 않고 오직 각 기간별 보유기간수익률을 구하여 계산한 기간평균수익률이다. 이 수익률은 연금기금매니저의 평가에서 많이 이용된다. 그 이유는 연금기금은 정해진 날짜에 유입 및 유출이 되어 매니저의 통제를 벗어나서 입출금이 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기금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은 시간가중수익률을 더 많이 사용한다. 투자기간의 중간에 현금흐름이 발생할 경우 투자성과를 평가하는 데는 가치가중수익률보다 시간가중수익률이 더 적절하다.
상기의 예에서 시간가중수익률을 구해보자. 먼저 각 기간별 보유기간수익률을 구해보면 2019년말 매매차익은 220,000 - 200,000 = 20,000, 2020년말 매매차익은 240,000 - 220,000 = 200,000이다.
산술평균수익률(rA)은 각 기간 수익률의 합을 기간수로 나눈 수익률이다.
이 수익률은 기간의 경과에 따른 복리개념을 사용하지 않는다. 산술평균수익률은 미래수익률을 예측할 경우 기대수익률(expected return)로써 적합하다.
기하평균수익률(rG)은 각 기간의 복리를 고려하여 계산한 수익률이다.
기하평균수익률은 항상 산술평균수익률보다 작다. 기간별 수익률간에 변화(σ)가 클수록 두 수익률은 차이가 많이 난다. 기하평균수익률(rG)과 산술 평균수익률(rA)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예를들어 (주)세아코퍼레이션의 주가가 2017년초 200,000원에서 2018년초 400,000원으로 올라간 후, 2020년말에 가서 다시 200,000원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가정했을 때 연간 산술평균수익률과 기하평균수익률은 각각 얼마일까?
위의 예에서 산술평균수익률이 미래기대수익률로서 적합한 이유를 보면, 2017년초에 200,000원인 주식이 다음 2년 동안 2배로 오르든지 절반으로 떨어지든지 하는 경우의 수는 다음 네가지이고, 그때 2년간 최종수익률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연간산술평균수익률은 25%이다. 가격기준으로도 마찬가지 결과를 가져온다.
주식사는법) 증권시장지표에 대해 알아보자.(2) (13) | 2021.08.01 |
---|---|
주식사는법) 증권시장지표에 대해 알아보자.(1) (2) | 2021.07.31 |
주식사는법) 증권 투자 수익률에 대해 알아보자.(1) (15) | 2021.07.28 |
주식사는법) 유가증권 매매거래의 관리에 대해 알아보자 (13) | 2021.07.27 |
주식사는법) 유가증권의 매매계약의 체결에 대해 알아보자. (8) | 2021.07.2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