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유통시장에 대해 알아보자

경영관리/투자이론

by 상민짱짱 2021. 7. 22. 08:00

본문

728x90
반응형

 

 

 

 

 

01 유통시장


유통시장(secondary market)이란 기존 증권이 매매되는 시장으로 2차적시장이라고도 하는데 투자자가 유가증권을 취득하여 투자자금을 운영하거나 또는 보유 유가증권을 처분하여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조직적, 구체적 시장이다. 유통시장은 신규증권이 발행되는 발행시장과는 달리 누구나 매매주체로서 참여할 수 있으며, 다수의 매매당사자를 위한 편의상 중개인이 개입하여 매매거래를 원할하게 한다.

 

 

유통시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여의도의 한국증권거래소(Korea Stock Exchange : KSE)가 대표적인 조직 시장이고, 1999년 부산에 개장한 한국선물거래소(Korea Futures Exchange : KFX)에서는 미국달러선물, 미국달러 옵션, CD금리선물 그리고 금선물이 매매된다. 미국에서는 NYSE나 AMEX와 같은 조직시장보다는 오히려 OTC(Over The Counter)라고 하는 비조직시장이 그 규모가 더 크고 매매되는 종목이 더 많다. 유통시장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가격형성기능으로서, 다수자가 참여하는 자유경쟁시장에서 형성된 경쟁가격은 유가증권의 시장성과 유동성을 높이며 기존 유가증권에 담보력을 제공하고, 또한 신규 유가증권발행가의 기준이 된다.

 

 

 

 

유통시장에서는 기존 증권을 매입하는 매입자와 매도하는 매도자가 증권거래소라는 구체적인 시장에서 위탁중개인인 증권회사와 중개로 매매거래를 한다. 그러나 이런 구체적이고 조직적인 시장은 오전장과 오후장이라는 시간적 제약과 상장증권만의 매매라는 제약을 받게 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비조직적 시장을 필요로 한다. 비조직적 시장은 장외시장 또는 점두시장이라고 하며, 공간적, 시간적 제약없이 증권회사끼리 비상장증권이나 일부 상장증권의 매매를 성립시킨다.

 

 

 

 

 

 

 

 

02 한국증권거래소 (KSE)


한국증권거래소는 현물시장(spot market)과 파생상품시장(derivatives market)으로 구분된다. 현물시장은 주식시장, 수익증권시장, 뮤추얼펀드시장, 채권시장으로 구분하고, 파생상품시장은 주가지수선물시장(stock index futures market)과 주식지수옵션시장(stock index option market) 그리고 부산의 한국선물거래소(KOFEX)시장에서는 미국달러선물, 미국달러옵션, CD금리선물, 금선물로 구분된다.

 

 

주식시장은 제 1부, 제 2 부, 관리종목, KOSDAQ시장 그리고 외국부로 구분된다. 채권시장은 일반채권시장, 주식관련 채권시장, 소액채권으로 구분된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